목록전체 글 (155)
Rootable의 개발일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l4bL9/btscPb3T58i/z6B7vXZozMVfPSM6QA0g2k/img.jpg)
📌 배열 크기를 지정하고 해당 크기만큼의 연속된 메모리 공간을 할당받는 작업을 수행하는 자료형 🔎 장/단점 ✔ 장점 메모리에 연속적으로 할당되어 있어 어느 위치에서나 O(1)에 조회가 가능(검색 성능 우수)인덱스를 이용하여 무작위 접근 가능(순차 접근을 하지 않아도 됨)순차 접근을 하더라도 연결 리스트보다 빠름 ✔ 단점 자료의 삽입이나 삭제 작업에서 데이터 이동이 많아 비효율적임크기가 고정되어 있어 메모리 낭비나 부족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음 Reference:https://hyoeun-log.tistory.com/entry/%ED%8C%8C%EC%9D%B4%EC%8D%AC-%EC%95%8C%EA%B3%A0%EB%A6%AC%EC%A6%98-7%EC%9E%A5-%EB%B0%B0%EC%97%B4 [자..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UFj7R/btscS5utHIF/7xzkd5cSemdYUJDKsPVvbK/img.png)
1. 웹 브라우저는 사용자가 입력한 URL 을 내장 톰캣 서버에 요청 2. 내장 톰캣 서버는 해당 URL과 매칭되는 Controller 를 찾는다. - 만약 적절한 Controller 를 못 찾는다면 resources 폴더에서 해당 html 파일을 찾아 그대로 내려준다. 3. 찾았다면 해당 Controller 가 반환하는 값 즉, html 파일명을 templates 디렉토리 이하에서 찾는다. - 이렇게 리턴한 값에 맞는 화면을 찾는 일을 뷰 리졸버(viewResolver)가 수행한다. - 기본 매핑 : resources/templates/ + {viewName} + .html 4. html 파일을 렌더링한다. - 여기서 Model 객체를 통해 전달한 값이 있다면 Thymeleaf 를..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J3J3D/btscKmEACvp/DDEvkFWGjyIuipX1yWRwHk/img.png)
📌 @Controller Spring 이 처음 로딩될 때, Spring Container 라는 공간이 생긴다. 그리고 이 공간에 @Controller 가 선언된 객체들을 넣어두고 관리한다. 이것을 스프링 컨테이너에서 스프링 빈이 관리된다라고 한다. Web Application에서 첫 번째 진입점사용자의 요청이 진입하는 지점사용자 요청을 받아서 파라미터를 검증(요청 스펙을 검증)요청에 따라 어떤 처리를 할지 결정을 서비스에 넘김 (실제 처리는 서비스에서 수행)Model 객체를 만들어 데이터를 담고 사용자에게 지정된 View 를 반환하여 응답 결과를 보여준다. ❓ Controller 를 왜 사용할까 특정 비즈니스 목적을 가진 프로젝트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다양하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