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23/05 (40)
Rootable의 개발일기

1. 스프링 컨테이너를 생성한다. 스프링 컨테이너를 생성할 때는 @Configuration 애노테이션을 붙인 설정(구성) 파일을 지정해야 한다. - key: 빈 이름 - value: 빈 객체 ApplicationContext applicationContext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AppConfig.class); 2. 스프링 빈 등록 스프링 컨테이너는 파라미터로 넘어 온 설정 클래스 정보를 사용해서 스프링 빈을 등록한다. - 메서드 명 : Bean 이름 (직접 부여 가능 -> @Bean(name = "memberService2")) - 반환 객체: Bean 객체 스프링 컨테이너는 설정 파일에 대해 자바, XML 형식을 모두 지원한다. 이것은 BeanDef..
SRP : 단일 책임 원칙(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 하나의 클래스는 하나의 책임만 가져야 한다. 이것은 변경이 있을 때 파급 효과를 줄이기 위함 OCP : 개방 폐쇄 원칙(Open-Close Principle) 소프트웨어 요소는 확장에는 열려 있으나 변경에는 닫혀 있어야 한다. 역할과 구현의 분리를 의미하고 다형성의 개념 하지만 다형성만으로는 OCP 를 지킬 수 없다. LSP : 리스코프 치환 원칙(Liskov Substitution Principle) 프로그램의 객체는 프로그램의 정확성을 깨지 않으면서 하위 타입의 인스턴스로 바꿀 수 있어야 한다. 이것은 객체 지향의 상속 개념 ISP : 인터페이스 분리 원칙(Interface Segregation Principle) ..

📌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이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OP)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객체들의 모임으로 파악하고자 하는 것으로, 각각의 객체는 서로 협력할 수 있다. 또한, OOP는 상속, 다형성 등으로 다양한 관계를 만들어내기 때문에 프로그램을 유연하고 변경 용이하도록 만들어준다. 🔎 객체(Object)란 클래스의 인스턴스나 배열 넓은 의미로 실세계에 존재하거나 생각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프로그래밍에서 객체는 필드 변수를 통해 속성을 표현하고 메서드를 통해 기능을 표현한다. 이렇게 표현한 설계도를 클래스라고 하며, 이 클래스로 공통 데이터를 가진 객체를 찍어내고, 우리는 이러한 원본 객체에 속성이나 기능을 변경하고 어떤 관계를 추가하면서 객체를 커스터마이징 한다. 📌 특징 🔎 다형성 실세계 객체를 역할과..
Spring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고 설정 및 배포 등을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돕는 개발 툴이다. 📌 핵심 기능 1. 자동 구성 Spring Boot 는 내장형 자동 구성 기능과 함께 제공되므로 개발에 필요한 Spring F/W, 타사 패키지 등의 종속성 항목을 사전 설정에 따라 자동으로 구성해준다. 따라서, 이를 통해 Spring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빠르게 개발할 수 있도록 하고 인적 오류의 가능성을 낮춘다. 2. 독선적 접근 방식 Spring Boot 는 프로젝트 요구 사항에 따라 시작 종속성 항목을 추가 및 구성할 때 독선적 접근 방식(opinionated approach)을 따른다. 시작 종속성은 Spring Initializr 에서 Spring MVC, Security 등 스프링 애플리케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