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Java (22)
Rootable의 개발일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J8mbN/btst5ukwVPR/m2omCwCH1fIT2JnkCIK3d0/img.png)
📌 입출력이란 컴퓨터 내부 또는 외부의 장치와 프로그램 간의 데이터를 주고받는 것 📌 스트림(Stream) 데이터를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연결통로 두 대상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달하려면 이들을 연결하는 매개체가 필요하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스트림'이다. 스트림은 연속적인 데이터의 흐름을 물에 비유해서 붙여진 이름으로, 단방향 통신만 가능하다. 즉, 입력과 출력을 동시에 처리할 수 없다. 이를 해결하려면 서로 반대 방향의 스트림 2개(입력, 출력)가 필요하다. 이를 '입력 스트림(input stream)', '출력 스트림(output stream)'이라 한다. 스트림은 큐와 같은 FIFO(First In First Out) 구조로 되어 있으며, 중간에 건너뜀 없이 연속적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 Wrapper class란 자바의 기본 자료형을 객체로 다루기 위해 사용하는 클래스를 wrapper class라 한다. 자바의 모든 기본 자료형마다 래퍼 클래스가 존재한다. 이러한 클래스를 포장 객체라고 하는데, 그 이유는 기본 타입의 값을 내부에 두고 포장하기 때문이다. 래퍼 클래스로 포장하고 있는 기본 타입 값은 외부에서 변경할 수 없다. 만약 값을 변경하고 싶다면 새로운 포장 객체를 만들어야 한다. 📌 종류 기본 타입(primitive type) 래퍼 클래스(wrapper class) byte Byte char Charater int Integer float Float double Double boolean Boolean long Long short Short 래퍼 클래스는 java.lang 패..
📌 추상 클래스란 추상 클래스는 클래스 내 추상 메서드가 하나 이상 포함되거나 abstract로 선언된 클래스를 말한다. 추상 메서드는 자손 클래스에서 완성해야 하는 메서드로 확장, 이용의 개념으로 볼 수 있다. 그래서 추상 클래스는 미완성 설계도라고도 표현한다. 상속을 위한 클래스이므로, 객체를 생성할 수 없다. 추상 클래스는 자손 클래스에서의 확장을 전제로 한 미완성 설계도 📌 인터페이스란 추상 메서드 또는 상수만으로 구성된 클래스(Java 8부터는 static 메서드와 default 메서드도 포함)로, 마찬가지로 추상 메서드는 자손(구현) 클래스에서 완성해야 하는 메서드다. 그래서 인터페이스는 기본 설계도라고 할 수 있으며, 중요 특징으로 다중 상속(구현)이 가능하다. 인터페이스는 다중 상속이 ..
📌 final 변수 final 키워드가 붙은 변수는 초기화 후 변경할 수 없다. final int a = 10; a = 50; //compile error 📌 final arguments (인자) 인자를 선언할 때 final 키워드를 붙일 수 있다. final로 선언된 인자는 메서드 내에서 변경할 수 없고, 읽기만 가능하다. public void method(final String arg) { System.out.println(arg); //arg = "not changing"; compile error } 📌 final class 클래스에 final을 붙이면 다른 클래스가 상속할 수 없는 클래스가 된다. final class A { ... } class B extends A { //compile er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