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157)
Rootable의 개발일기
[해당 글은 공부 목적으로 아래 사이트 및 블로그 등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데이터 무결성이란 데이터의 정확성, 일관성, 유효성 등이 유지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정확성은 중복이나 누락이 없는 상태를 뜻하고, 일관성은 원인과 결과의 의미가 연속적으로 보장되어 변하지 않는 상태를 뜻한다. 만약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 무결성 설계를 하지 않는다면 테이블에 중복된 데이터 존재, 부모와 자식 데이터 간의 논리적 관계 깨짐, 잦은 에러와 재개발 비용 발생 등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것이다. 따라서, DBMS에서 데이터의 무결성이 유지되는 것은 중요한 사항이며, 주로 데이터에 적용되는 연산에 제한을 두어 데이터의 무결성을 유지한다. 📌 데이터 무결성 제약조건 🔎 개체 무결성(Entity integrity..
[해당 글은 공부 목적으로 아래 사이트 및 교재 등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모든 다이어그램은 불친절한 SQL 프로그래밍 교재를 참고함] 📌 정규형/정규화 란 데이터 이상(anomaly) 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관계형 모델의 설계 지침이다. 이에 따라 릴레이션을 만드는 과정을 정규화라 한다. 📌 정규화를 하는 목적 1. 중복 데이터를 최소화하여 테이블 불일치 위험을 최소화한다. 2. 수정, 삭제 이상 현상 등을 방지하여 데이터 구조의 일관성을 최대화한다. 3. 데이터 삽입 시 릴레이션 재구성에 대한 필요성을 줄인다. 4. 효과적인 검색 알고리즘을 생성할 수 있다. 🔎 제 1 정규형 속성의 원자성(atomicity)과 관련이 있다. 모든 속성은 단일 값을 가져야 한다. 아래의 릴레이션은 다중 값을 가지..
[해당 글은 공부 목적으로 아래 사이트 및 교재 등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모든 다이어그램은 IE 표기법을 따르며, 해당 내용은 불친절한 SQL 프로그래밍 교재를 참고함] 📌 E-R 모델(Entity-Relationship Model)이란 엔터티(Entity)와 관계(Relationship)로 데이터를 표현하는 모델로 산출물을 ERD(Entity-Relationship Diagram)이라 한다. 주로 IE(Information Engineering) 표기법과 Barker 표기법을 사용한다. 📌 E-R 모델 구성요소 🔎 엔터티(Entity) 기업에서 지속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해야 할 대상으로 실제 세상에 존재하는 객체이다. 하나의 관리 대상이 엔터티가 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두개 이상의 속성을 가져야 ..
[해당 글은 공부 목적으로 아래 블로그 및 사이트 등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데이터 모델이란? 현실 세계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할 수 있도록 추상화한 것이다. 📌 데이터 모델링이란 현실 세계의 데이터에 대해 약속된 표기법으로 표현하는 과정으로 데이터 모델을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한 분석/설계 과정을 말한다. Reference: https://doorbw.tistory.com/229 [DB 이론] #3_데이터 모델링(Data Modeling) 안녕하세요. 문범우입니다. 이번에는 Data Base에서 데이터 모델링(Data Modeling)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데이터 모델링을 보다 잘 이해하려면 앞에서 학습한 엔터티, 속성, 관계, 식별자에 doorbw.tistor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