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155)
Rootable의 개발일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YD1Qd/btsjGnwbJfr/CiFHM1JmbbkZ5Zza04ldf1/img.png)
[해당 글은 공부 목적으로 아래 사이트 및 교재 등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모든 다이어그램은 IE 표기법을 따르며, 해당 내용은 불친절한 SQL 프로그래밍 교재를 참고함] 📌 E-R 모델(Entity-Relationship Model)이란 엔터티(Entity)와 관계(Relationship)로 데이터를 표현하는 모델로 산출물을 ERD(Entity-Relationship Diagram)이라 한다. 주로 IE(Information Engineering) 표기법과 Barker 표기법을 사용한다. 📌 E-R 모델 구성요소 🔎 엔터티(Entity) 기업에서 지속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해야 할 대상으로 실제 세상에 존재하는 객체이다. 하나의 관리 대상이 엔터티가 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두개 이상의 속성을 가져야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b5Rw/btsjpEZPIwG/nl4k3kOkQyf8XdiEIsOy31/img.jpg)
[해당 글은 공부 목적으로 아래 블로그 및 사이트 등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데이터 모델이란? 현실 세계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할 수 있도록 추상화한 것이다. 📌 데이터 모델링이란 현실 세계의 데이터에 대해 약속된 표기법으로 표현하는 과정으로 데이터 모델을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한 분석/설계 과정을 말한다. Reference: https://doorbw.tistory.com/229 [DB 이론] #3_데이터 모델링(Data Modeling) 안녕하세요. 문범우입니다. 이번에는 Data Base에서 데이터 모델링(Data Modeling)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데이터 모델링을 보다 잘 이해하려면 앞에서 학습한 엔터티, 속성, 관계, 식별자에 doorbw.tistory.com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dUF7p/btsh3DumLUD/duHHk2K7kktnTbK9NI0cxk/img.png)
[본 글은 프로젝트 과정을 기록할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아래 교재에 기반하여 작성됨] 📌 SQL Mapper ve ORM ✔ SQL Mapper SQL 쿼리를 매핑하는 데이터 객체화 기술 장점 SQL 응답 결과를 객체로 편리하게 변환할 수 있다 JDBC 반복 코드를 제거할 수 있다 난이도가 낮은 편 단점 개발자가 SQL을 직접 작성해야 함 ex) MyBatis, Spring JdbcTemplate ✔ ORM(Object Relational Mapping) 객체를 관계형 DB 테이블과 매핑해주는 기술 장점 동적 SQL 생성 (SQL에 종속적인 개발을 하지 않아도 됨) DB마다 다른 SQL 문제 해결 개발 생산성이 높다 단점 난이도가 높은 편 ex) JPA(표준 인터페이스), Hibernate, eclips..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29W1n/btsh2mFQbxl/WkhnIgKS5c72zrVvgZefKK/img.png)
[본 글은 프로젝트 과정을 기록할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아래 교재에 기반하여 작성됨] 📌 TDD(Test-Driven Development) 항상 실패하는 테스트를 먼저 작성하고(Red) 테스트가 통과하는 프로덕션 코드를 작성하고(Green) 테스트가 통과하면 프로덕션 코드를 리팩토링한다.(Refactor) 이번 장에서 할 테스트 코드 작성은 TDD의 첫 번째 단계인 기능 단위의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TDD와 달리 테스트 코드를 꼭 먼저 작성해야 하는 것도 아니고, 리팩토링도 포함되지 않는다. 순수하게 테스트 코드만 작성하는 것을 말한다. 기능 단위로 기대하는 결과가 나오는지 테스트하는 코드 🔎 테스트 코드 작성 이점 1. 빠른 피드백 - 코드를 수정할 때마다 계속 톰캣을 내렸다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