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23/07/07 (2)
Rootable의 개발일기

📌 HTTP란? HTTP는 HTML 문서와 같은 리소스들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토콜이다. HTTP는 웹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데이터 교환의 기초이며, 클라이언트-서버 프로토콜이기도 하다. 클라이언트-서버 프로토콜이란 (보통 웹 브라우저인) 수신자 측에 의해 요청이 초기화되는 프로토콜을 의미한다. Reference: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HTTP/Overview HTTP 개요 - HTTP | MDN HTTP는 HTML 문서와 같은 리소스들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토콜입니다. HTTP는 웹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데이터 교환의 기초이며, 클라이언트-서버 프로토콜이기도 합니다. 클라이언트-서버 developer.mozilla.org 📌 HTTP ..

📌 TCP란? 전송 계층에서 동작하는 프로토콜로서 호스트 사이의 신뢰성 있는 메시지 전송 및 감독을 지원한다. 📌 TCP의 구조 🔎 Port Number 각 호스트의 프로세스 간 통신이 가능하도록 프로세스를 식별하는 Port Number가 있다. 🔎 Sequence Number(SYN) 송신 데이터의 순서 번호로서 3-way handshake를 시작할 때 임의의 시작 번호인 초기 순서 번호(Initial sequence number, ISN)를 상호 간에 주고받는다. TCP 프로토콜은 3-way handshake라는 연결 설정 과정을 통해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송신 측은 전송할 때마다 세그먼트 데이터에 번호를 부여하여 수신 측의 정상적인 수신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 세그먼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