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23/07/15 (2)
Rootable의 개발일기

HTTP에서 요청 데이터를 전달할 때 주로 3가지 방식을 사용한다. 1. GET 쿼리 파라미터 전송 2. POST HTML Form 전송 3. HTTP Body에 직접 담아서 전송 - HTTP API 요청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을 하나씩 알아보고 각 방식에 맞게 적절하게 선택하자. 📌 GET 쿼리 파라미터 및 POST HTML Form - 요청 파라미터 처리 🔎 서블릿 HttpServletRequest.getParameter를 통해 요청 파라미터를 다룰 수 있다. 이 방식은 GET 쿼리 파라미터 전송 방식과 POST HTML Form 전송 방식 둘 다 형식이 같으므로 구분 없이 조회 가능하다. 🔎 @RequestParam HttpServletRequest와 같은 역할 즉, 요청 파라미터 값을 받아..

📌 요청 URL 및 메서드 매핑 🔎 @RequestMapping "/hello-basic"이라는 요청 URL이 오면 응답 @RequestMapping은 HTTP 메서드를 모두 허용함 🔎 축약형 애노테이션 특정 메서드 요청에만 응답 스프링은 @GetMapping뿐만 아니라 HTTP 메서드 축약형 애노테이션인 @PostMapping, @PutMapping 등 모두 지원함 🔎 PathVariable 경로 변수 특정 사용자 또는 특정 게시물 등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URL 경로에 동적 경로가 들어가게 된다. 예를 들어, "/members/1"는 1번 회원에 대한 페이지를 말한다. 위 URL처럼 '1'이라는 경로는 계속 변경되기 때문에 이 값마다 처리하는 컨트롤러를 만드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이다. 그래서 스프링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