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ootable의 개발일기

검색하기
Rootable의 개발일기
프로필사진 dev-rootable

  • 분류 전체보기 (155)
    • Spring (36)
    • JPA (15)
    • 데이터베이스 (9)
    • Java (22)
    • 프로그래머스 - SQL Kit (26)
    • 스프링 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 (11)
    • Network (16)
    • 알고리즘 (11)
    • React (6)
    • OS (1)
    • C (2)
Guestbook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반응형
«   2023/07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 글쓰기
  • 방명록
  • RSS
  • 관리

목록2023/07/14 (1)

Rootable의 개발일기

@RequestParam vs @ModelAttribute vs @RequestBody

📌 @RequestParam 단일 데이터를 받기 위해 사용 클라이언트 요청의 Content-Type이 "application/json"이든 "application/x-www-form-encoded"이든 "multipart/form-data"이든 상관 없이 동일하게 key에 매칭되는 하나의 필드 값을 받을 수 있다.  URL에서 파라미터를 추출하기 때문에 HTTP API처럼 직접 HTTP 바디에 데이터를 담는 경우에는 사용 불가  요청 파라미터 이름과 변수 이름이 같으면, @RequestParam의 name 값이 없어도 된다.  위 경우처럼 이름이 같은 상황에서 String, int, Integer 등 단순 타입이면 @RequestParam 생략 가능 @RequestParam 생략하면 Spring MVC..

Spring 2023. 7. 14. 15:02
이전 Prev 1 Next 다음

Blog is powered by kakao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