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23/07 (26)
Rootable의 개발일기

📌 서블릿이란 일반적으로 클라이언트-서버 구조에서 HTTP 상에서 요청과 응답이 일어나려면 필요한 작업이 많다. ex) TCP/IP 연결, HTTP 요청 메시지 생성, 비즈니스 로직 처리, HTTP 응답 메시지 생성, TCP/IP 연결 종료 등등 이러한 작업들을 개발자가 구현하면 매번 반복적인 작업을 구현하는데 많은 시간을 소모하게 된다. 그래서 비즈니스 로직 처리 외 HTTP 요청 및 응답과 관련된 작업들을 처리하는 역할이 필요하게 되었는데, 이를 수행하기 위해 서블릿이 등장했다. 클라이언트 요청을 처리하고 그에 대한 응답을 주기 위한 자바 프로그램 🔎 특징 웹 서버가 동적인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애플리케이션클라이언트 요청에 대해 동적으로 작동HTML을 사용하여 응답Java Threa..

📌 웹 서버(Web Server)란? HTTP 프로토콜 기반에서 동작하는 서버로, 주로 정적 리소스를 제공 ex) NGINX, APACHE 🔎 특징 HTTP 기반으로 동작 정적 리소스 처리에 특화 정적 리소스 : 파일, 정적 HTML, JS, 이미지, CSS, 영상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기능을 포함하기도 함 📌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WAS - Web Application Server)란? HTTP 프로토콜 기반에서 동작하는 서버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여 애플리케이션 로직을 수행하는 서버 ex) Tomcat, Jetty, Undertow 🔎 특징 HTTP 기반으로 동작 웹 서버 기능 포함(정적 리소스 제공 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여 애플리케이션 로직 수행 동적 HTML, HTTP API(JSON),..

📌 상태 코드 그룹별 의미 1xx(Information) : 요청이 수신되어 처리 중 (거의 사용하지 않음) 2xx(Successful) : 요청 정상 처리 3xx(Redirection) : 요청을 완료하려면 추가 행동이 필요 4xx(Client Error) : Client 오류, 잘못된 문법 등으로 서버가 요청을 수행할 수 없는 상태 5xx(Server Error) : Server 오류, 서버가 정상 요청을 처리하지 못하는 상태 📌 2xx(Successful) 🔎 200 OK 요청을 정상적으로 처리했음 🔎 201 Created 서버 요청이 성공하여 서버 쪽에서 리소스가 생성되었음 응답의 Location 헤더 필드를 통해 생성된 리소스를 식별할 수 있음 🔎 202 Accepted 요청이 접수되었으나 처리..

📌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 Interface란? 사물과 인간 사이의 경계에서 상호 간의 소통을 위해 만들어진 물리적 매개체나 프로토콜 🔎 정의 및 개념 애플리케이션(응용 프로그램)에서 다른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만든 매개체 서버는 프로그램이나 사용자 측에서 접근 및 제어할 수 있는 데이터나 기능을 API로 만들고, 접근 권한이 있는 개발자나 애플리케이션에서 해당 API를 통해 정의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 개념 도면과 예시 서버는 DB 서버에 금융 관련 정보를 저장DB의 데이터를 통해 특정 목적을 위한 기능(API)들을 개발적절한 접근 권한 부여다른 애플리케이션에서 기능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함Web application ..